2025/07/13 2

대만의 외국인 노동자의 고용허가제와 한국의 고용허가제 비교: 구조적 차이와 장단점

세계 여러 나라들이 이주노동자의 유입을 제도화하고 있는 가운데,아시아권에서 고용허가제를 중심으로 외국인 노동자를 관리하고 있는 대표적인 두 나라가 바로 한국과 대만입니다.이 두 나라는 비슷한 시기에 노동력 부족 문제를 겪으며외국인 노동자의 도입을 국가 제도로 공식화하였고,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외국인 인력의 의존도 역시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하지만 한국과 대만의 고용허가제는 구조적으로 여러 중요한 차이점을 갖고 있으며,그 차이는 단순히 행정 운영의 형태만이 아니라,외국인 노동자를 대하는 사회적 태도, 제도의 유연성, 노동자 권리 보호 수준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각 제도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일은보다 효과적이고 인도적인 이주노동 정책을 설계하는 데 있어매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대만과 ..

이주노동자 2025.07.13

외국인 이주 노동자 자녀의 교육권 보장 문제와 제도 개선 방향

이른 새벽, 공장으로 향하는 부모의 뒷모습을 바라보며잠결에 눈을 뜨는 아이들이 있습니다.어디에 속하지도, 누구에게도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못한 채조용히 한국 땅에 살아가는 외국인 노동자의 자녀들입니다.그 아이들은 언어가 달라서가 아니라,‘서류상 존재하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에학교에 가지 못하고, 친구를 사귀지 못하고,어른들의 법과 규정 사이에서 꿈을 접어야 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아이들은 아무 선택권도 없습니다.그들이 한국에 오는 것도,미등록 체류자가 되기로 선택한 것도 아닙니다.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외국인 노동자의 자녀들이정당한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고,자신이 어디에 속한 사람인지조차 모르며 자라고 있습니다.교육은 국가가 보장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인권이며,그 출발점은 국적이 아니라 존재..

이주노동자 202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