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3

외국인 노동자 사회통합 정책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

한국은 이제 더 이상 단일민족 사회로 불릴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고용허가제를 통해 수십만 명의 외국인 노동자가 매년 한국을 찾고 있으며,이들은 산업현장에서 땀 흘리는 노동력일 뿐만 아니라,이웃으로서, 동료로서, 때로는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우리 곁에 살아가고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은제도 밖의 주변인, 혹은 언제든 떠날 수 있는 임시 인력처럼 취급받고 있는 현실에 놓여 있습니다.특히 체류 기간이 늘어나고 가족 동반, 정착 의지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이들을 단순한 ‘노동자’가 아닌 ‘삶을 함께하는 이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통합 정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단속과 자진출국 유도 중심의 정책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며,그 대신 ‘지속 가능한 공존의 구조’를 설..

이주노동자 2025.07.12

미등록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이주 정책의 한계와 대안 모색

대한민국은 지난 수십 년간 빠르게 산업화를 이룩하며,그 과정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의 손길을 광범위하게 필요로 해왔습니다.고령화와 내국인의 일부 산업 기피 현상이 겹치면서,외국인 노동자는 단순한 보조 인력이 뿐만 아니라 산업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하지만 외국인 노동자의 체류와 고용을 관리하는 정부 정책은여전히 단속과 처벌 중심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미등록 외국인 노동자 수는 2024년 기준으로 약 40만 명을 넘어섰으며,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기적인 단속 강화 및 자진출국 유도 정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정책은 불법 체류율을 낮추기 위한 시도로는 이해할 수 있으나,근본적인 원인을 해소하지 못한 채 단기적 효과에만 의존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더욱이 단..

이주노동자 2025.07.12

미등록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정부의 ‘자진출국’ 유도 정책의 실효성과 허점

한국 사회는 산업 전반에 걸쳐 외국인 노동력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습니다.제조업, 농축산업, 건설업, 어업 등 내국인 기피 업종에서는 이미 외국인 노동자가 핵심 인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이들 중 일부는 비자 기간의 만료, 고용관계의 종료, 행정적 실수 등 다양한 이유로 미등록 상태, 즉 불법 체류자로 전환되어 한국에 남아 일하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정부는 매년 일정한 기간을 정해 ‘자진출국 기간’을 운영하며,미등록 외국인 노동자에게 자발적으로 출국하면 불이익 없이 재입국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자진출국 유도 정책은 단속보다는 유화적인 방식으로미등록 외국인을 제도 밖에서 자연스럽게 정리하고자 하는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과연 현실에서 실효성을 발휘하고 ..

이주노동자 2025.07.12